[정답]
1. 제 21대 임금인 영조가 시행한 탕평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① 영조는 탕평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며, 이러한 의지를 드러내는 비석을 세웠는데 그것이 바로 탕평비이다.
2. 제 5대 임금인 문종은 승하하기 전, 신하들에게 세자를 지켜달라는 부탁을 하였는데 이러한 임금의 유언을 받든 대신들을 고명대신이라고 한다.
① O
3. 조선에 제일 먼저 표류한 서양인인 '벨테브레이'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③ 벨테브레이는 조선에서 조선 여자와 결혼하였다.
4. 제 1대 임금인 태조 이성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② 태조 이성계는 조선 건국에 대한 공을 따져 이방원을 왕세자로 선택하였다.
5. 제 18대 임금인 현종시대에 일어난 예송논쟁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④ 현종은 결국 1,2차 논쟁에서 모두 서인의 손을 들어주었다.
6. 제 4대 임금인 세종이 이룬 업적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① 세종은 여자 노비뿐만 아니라 남자 노비를 대상으로도 육아 휴가 제도를 실시하였다.
7. 제 7대 임금인 세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③ 세조는 조선시대 국가의 기본 이념인 유교와 대비되는 불교를 탄압하였다.
8. 제 23대 임금인 순조와 정순왕후와 관련한 사건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④ 순조는 즉위하자마자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인 박해를 시작하였다.
9. 광해군이 실행한 중립외교에 대한 배경과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③ 청나라는 조선에게 후금에 대한 방어책으로 원군을 보내달라고 도움을 청하였다.
10. 제 2대 임금인 정종은 조선 국왕 중 최초로 한양에서 즉위한 왕이다.
① O
11. 다섯 집을 하나로 묶어 이웃을 서로 감시하게 하는 제도인 오가작통법은 현종 때 천주교 신자들을 박해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.
① O
12. 1년도 채우지 못한 조선의 최단기 임금은 제 12대 임금인 인종이다.
① O
13. 임진왜란에서 일본이 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② 일본은 거북선의 존재를 몰랐다.
14. 제 9대 임금인 성종이 이룬 업적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③ 성종은 끝내 조선의 기본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지 못하였다.
15. 제 22대 임금인 정조의 업적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.
② 정조는 전쟁과 가뭄, 역병 때문에 사람이 먹을 쌀도 없는데 쌀로 술을 만들어 단숨에 많은 쌀을 소비하는 것을 사치라 여기고 재위기간 내내 금주령을 내렸다.
16. 제 11대 임금인 중종이 조광조를 등용한 이유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① 바지임금이란 오명을 벗고 자신의 포부를 펼치기 위하여
17. 연산군은 임금으로 즉위하자마자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복수를 위해 관련된 신하를 한꺼번에 처단하였다.
① X
18. 명종 1년, 1545년 을사년에 발생한 을사사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③ 문정왕후와 소윤파가 대윤파를 모두 숙청한 사건을 일컫는다.
19. 제 19대 임금인 숙종의 후궁이었던 장희빈은 결국 중전이 되지 못하였다.
① O
20. 세도정치의 원래 의미는 외척정치이다.
② X
'Review > 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근로자 정기안전교육] 사무직 4분기 답안 (0) | 2020.11.04 |
---|---|
[통일교육]역사 속 통일의 현대사적 의미 온라인 시험 답안 (0) | 2020.08.10 |